본문 바로가기
건강 ・질환 정보

대상포진,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이유

by 하루하루헬씨 2025. 7. 2.

대상포진이란 무엇일까

대상포진은 어릴 적 앓았던 수두의 원인 바이러스가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활성화되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의학적으로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라는 이름을 가진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피부에 물집이 생기고, 그와 함께 해당 부위를 따라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바이러스가 다시 깨어나는 원인으로는 나이,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과로, 기저질환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수두를 앓고 난 후 신경절에 남아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점을 틈타 다시 활동을 시작합니다. 새로운 감염이라기보다는 몸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환자로부터 직접적으로 대상포진이 전염되는 일은 드물지만, 수두를 앓지 않은 사람이 환자의 수포에 접촉하면 수두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 중 아이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가 있다면 수포가 잡힌 부위를 노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언제 감염력을 가지게 될까

대상포진은 수포가 발생하고 진물이 나오는 시기에 감염력이 있으며, 수포가 딱딱한 딱지로 바뀌는 시점까지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포가 마르기 전까지는 수건을 함께 사용하거나 피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고, 같은 수건이나 침구류를 쓰는 것도 삼가야 합니다. 특히 피부 노출이 많은 가정 내 생활에서는 어린이나 노약자와의 접촉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증상과 구체적 사례

처음에는 감기몸살처럼 으슬으슬하거나 한쪽 몸 부위에만 찌릿한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어서 수일 내에 피부에 붉은 발진이 나타나고, 수포가 생기며 점점 통증이 심해집니다. 발진은 몸통이나 얼굴, 팔, 다리, 엉덩이 등에 생길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체의 한쪽에 국한되어 발생합니다. 얼굴에 발생할 경우 눈이나 귀까지 침범하면 시력이나 청력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빠른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환자들이 벌레에 물린 줄 알거나 근육통으로 착각해 파스를 붙이고 내원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특히 통증이 먼저 시작되고 피부 병변이 늦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오진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파스를 붙였는데 더 아파졌어요”라는 말을 듣고 진찰한 결과 대상포진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대상포진후 신경통(PHN)에 주의해야 할 이유

대상포진이 무서운 이유는 단순히 수포나 발진 때문만이 아닙니다. 피부가 다 아물고 나서도 몇 달, 길게는 수년 동안 지속되는 극심한 신경통이 남을 수 있습니다. 이를 대상포진후 신경통(PHN)이라고 하며,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납니다. PHN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진통제로도 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정신적 고통도 큽니다. 따라서 초기에 항바이러스 치료를 빠르게 시작해 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의사들은 보통 피부 병변의 모양과 분포, 통증 위치 등을 종합해 진단합니다. 그러나 발진이 늦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항원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DelmaQuick VZV라는 키트를 사용해 빠르게 진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포진인지 다른 피부질환인지 구별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이 빠른 치료의 열쇠가 됩니다.

치료 방법과 예후

현재는 바라시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 아메나메비르 등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있어 증상이 시작된 지 72시간 이내에 복용을 시작하면 회복 속도가 빠르고 신경통 발생도 줄일 수 있습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 신경안정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이 병행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발병 초기에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함께 치료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고령자나 면역저하자는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백신 접종, 누구에게 필요할까

대상포진 백신은 50세 이상이라면 예방 목적의 접종을 권장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대상포진을 한 번 앓은 분이라도 면역력이 다시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재발을 막기 위한 백신 접종이 고려됩니다. 치료 직후에는 일정 기간 면역이 회복되므로 보통 2~3년 정도 후에 접종해도 충분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백신 종류와 특징

대상포진 백신에는 생백신과 성분 백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생백신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50% 정도의 예방 효과가 있으며 약 8년간 면역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성분 백신(건조 재조합 백신)은 90% 이상의 예방 효과를 보이며, 2회 접종이 필요하지만 면역 효과가 우수하고 고령자에게도 적합합니다. 단점은 비용이 높은 편이므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기도 합니다. 접종을 고려하시는 분은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 문의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상포진 의심된다면 지금 바로 해야 할 일

대상포진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지는 50대 이후부터는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통으로 오래 고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백신과 조기 진단, 빠른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입니다. 몸 한쪽이 찌릿하거나 감기 몸살 같은 증상이 생겼을 때, 피부에 수포나 발진이 동반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조기 치료는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